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[Git] git stash 명령어란
    GIT 2022. 3. 4. 17:29
    반응형
    SMALL
    • 어떤작업을 진행하던 중에 다른요청이 들어와 하던작업을 멈추고 잠시 브랜치를 변경해야한다면, 완료되지 않은 파일을 commit하는 것은 찝찝하다. 현재내용을 임시로 저장해놓고 브랜치 이동이 필요할때 안전하게 stash를 사용하자

     

    [SourceTree]

    1. 커밋하지 않은채로 스태시 클릭

     

    2. 스태시 메시지 입력 후 저장

     

    3. 스태시 하위에 스태시저장한 목록 확인

     

    4. 브랜치 이동 / Pull 최신업데이트

    - 요청작업 진행 후 push.

     

    5. 다시 작업중인 브랜치로 이동

     

    6. 스태시목록 마우스 우클릭 > 스태시 적용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[Git bash]

    1. 스태시 생성 (하던작업 임시저장)
    git stash
    or
    git stash save
    
    2. 스태시 목록확인
    git stash list
    
    3. 스태시 적용
    // 가장 최근의 스태시를 가져와 적용
    git stash apply
    
    git stash apply [스태시 이름]
    
    // index옵션을 주면 스태시 상태였던 파일을 자동으로 다시 스태시상태로 만들어줌
    git stash apply --index  
    
    
    4. 적용과 동시에 스택에서 스태시 제거
    git stash pop
    반응형
    LIST

    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    [GIT] merge 이슈 해결  (0) 2023.04.10
    [Git] merge, push, pull  (0) 2023.04.04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